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
- 결정트리
- AP Computer Science A
- BLaST
- MERS
- 바이오파이썬
- Kaggle
- 생명정보학
- 알파폴드
- 오류역전파
- 바이오인포매틱스
- 딥러닝
- 인공지능 수학
- CNN
- ncbi
- SVM
- Java
- 파이썬
- AP
- 인공신경망
- 블록체인
- 서열정렬
- 캐글
- 행렬
- bioinformatics
- 인공지능
- 생물정보학
- COVID
- 시그모이드
- 이항분포
- Today
- Total
데이터 과학
인공지능 기초함수 본문
행렬과 선행 대수를 알아보기 전에 기초적인 수학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자.
함수
수학에서도 함수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는데 같은 의미입니다. 수학에서 함수라는 의미로 나타낸 용어로 y=f(x)로 표현하는데 프로그래밍에서도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단지, C언어 이후에 return 개념이 나오면서 함수를 부르면 그 결과를 보내주는 의미로 변형이 이루어졌다고 봐야 하겠죠.
파이썬에서 프로그래밍으로 구현을 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def func(x):
return 5*x+3
x=5;
y=func(x)
print(y)
다항함수를 구하는 방법도 위 수식을 변형하면 됩니다.
y=5x2(승) + 3x+2에 대한 수식을 표현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def func(x):
return 5*x**2+3*x+2
x=5;
y=func(x)
print(y)
삼각함수
음성인식 분야에 사용되는 삼각함수를 알아보자.
삼각비를 이루는 sin, cos, tan으로 구성을 할 수 있다.
삼각함수 공식이 있는데 이 공식은 다음과 같다.
삼각함수를 조금 더 쉽게 외우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그림을 보자.
삼각함수는 목표물의 거리값을 구할 때 사용하는데, 검색엔진에서도 유사도 추정할 때 코사인 세타 값을 이용해서 사용한다. 인공지능에서는 푸리에 변환 이전에 음성인식 분야에서 사용이 된다.
파이썬에서는 numpy 라이브러리 안에 sin(), cos(), tan() 함수가 있어서 이 함수들을 불러내서 사용하면 된다.
import numpy as np
def my_sin(x):
return np.sin()
def my_cos(x):
return np.cos()
https://kukuta.tistory.com/199
삼각함수
필자는 수학을 못한다. 학생 시절 시험을 치면 다른 과목에서는 하나, 많이 틀리면 두개 정도 틀렸지만 수학만큼은 하나 아니면 두개 정도 맞을 정도로 수학에 대해서는 잼병이다. 본 포스트는
kukuta.tistory.com
https://dl.dongascience.com/magazine/view/M202104N009
[특집] 한눈에 익히는 삼각함수와 음성 인식 AI | d라이브러리
dl.dongascience.com
'인공지능 > 인공지능과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접선의 기울기와 경사하강법 (0) | 2022.08.01 |
---|---|
인공지능 편미분 (Partial Derivative) (0) | 2022.08.01 |
인공지능 벡터, 텐서 (0) | 2022.07.31 |
인공지능 행렬 (0) | 2022.07.31 |
인공지능과 수학 (0) | 202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