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NN
- COVID
- SVM
- MERS
- 바이오파이썬
- Kaggle
- AP Computer Science A
- 바이오인포매틱스
- 인공지능 수학
- 생명정보학
- 오류역전파
- 서열정렬
- 인공지능
- 이항분포
- 파이썬
- 알파폴드
- 행렬
- 시그모이드
- 캐글
- 자바
- AP
- BLaST
- ncbi
- 생물정보학
- 블록체인
- Java
- bioinformatics
- 인공신경망
- 딥러닝
- 결정트리
- Today
- Total
데이터 과학
인공신경망에서 함수 본문
오류역전파는 정방향(forward) 알고리즘으로 순차적으로 연산을 진행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앞에 있는 행렬을 학습하고 입력값과 가중치(weight) 값을 연산하면 출력값이 나타나는데 이 출력값을 그냥 반영하면 안 되고 이를 변형해야 합니다.
https://tsyoon.tistory.com/144
인공신경망에서 행렬
인공 신경망에서 행렬 이론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공 신경망에서 입력 데이터와 가중치를 행렬로 표현하고, 이를 행렬 곱셈을 통해 계산하는 것이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를 통해
tsyoon.tistory.com
위 행렬 예제에서 가중치에 있는 값을 입력값과 연산을 해 봅시다.
W1 = [[0.1, 0.2, 0.3],
[0.4, 0.5, 0.6]]
h = W1 * x = [[0.1, 0.2, 0.3], [[1], [[1.9],
[0.4, 0.5, 0.6]] [2]] = [4.8]]
[ 3.2 3.8 4.4]
이 값으로 결과가 나오는데 이 결과가 각각 h1, h2, h3로 설정이 됩니다.
여기서 이 값을 그대로 반영하며 값의 범위가 커지게 됩니다. 값이 무한정으로 커진다면 범위안에 계산이 어렵고 정규화가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0과 1사이의 범위 안에 두고 정규화를 하면 값의 범위도 지정할 수 있고 연산도 간편하겠죠.
이를 위해 함수를 지정합니다.
초창기에는 스텝 함수를 사용하였는데 스텝 함수는 0과 1의 결과로만 나오기에 너무 극단적입니다.
좀 더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함수를 반영해야겠죠.
이에 대해 적용한 함수가 시그모이드(sigmoid)입니다.
비선형 함수이며 0과 1사이의 값을 로지스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인공신경망에서 시그모이드 함수
인공신경망에 대해서 공부하려면 함수(function)의 의미에 대해 이해를 해야 합니다. 퍼셉트론을 사용할 때 함수의 개념을 이용하여 경계를 기준으로 값을 변환시키는 형태로 알고리즘을 작성하
tsyoon.tistory.com
위 내용을 이해하여 시그모이드 함수의 기본 사용 방법을 익혀 봅시다.
이후에는 손실함수를 사용하여 오차를 줄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인공지능 > 기초 인공신경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읽어볼 책 - 생각하는 기계 (0) | 2024.07.21 |
---|---|
인공신경망 학습순서 (1) | 2024.06.05 |
손실함수와 역전파 (0) | 2023.05.22 |
chatGPT 원리 (0) | 2023.05.17 |
테일러 급수를 이용한 인공신경망 (0) | 2023.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