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MERS
- 행렬
- 바이오인포매틱스
- Java
- 결정트리
- 인공지능 수학
- 블록체인
- ncbi
- CNN
- 파이썬
- Kaggle
- 인공지능
- 시그모이드
- 생물정보학
- 이항분포
- AP
- 알파폴드
- 딥러닝
- BLaST
- 생명정보학
- 캐글
- 서열정렬
- 자바
- 바이오파이썬
- 오류역전파
- AP Computer Science A
- COVID
- 인공신경망
- bioinformatics
- SVM
- Today
- Total
데이터 과학
인공지능 읽어볼 책 - 생각하는 기계 본문
인공지능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는 이론이 어렵고 난해 할 수 있습니다.
기술서들은 많이 있는데 처음부터 천천히 읽어볼 만한 책이 많이 없고, 개념을 차근차근 설명해 주는 책도 많이 없습니다. 번역서들 중에 개념을 설명하는 책들이 있긴 한데 번역 문제로 문장이 많이 딱딱하고 오히려 번역된 문장을 이해하는 시간이 더 많이 필요할 정도이며, 교과서와 같은 책이 없긴 하죠.
추천하는 책들이 있는데 김대식 교수의 책들이 이해하기 쉽고 흐름을 읽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인간대 기계라는 책인데 산업혁명과 기계문명의 과거와 미래에 대해 전문가적 시각으로 풀어 쓴 책입니다.
그리고, 조금은 오래전에 나온책이지만 인공지능이 지금처럼 저변이 넓게 퍼지기 이전에 나온 책이 있습니다.
생각하는 기계라는 책인데 대니얼 힐리스가 쓴 책입니다. 이론서이기 보다는 개념서 정도로 인공지능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쉽게 공부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책 이외에 튜링테스트에 대한 내용과 중국어방에 대한 논제를 한번은 읽어보고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튜링테스트
https://namu.wiki/w/%ED%8A%9C%EB%A7%81%20%ED%85%8C%EC%8A%A4%ED%8A%B8
튜링 테스트
Turing Test 기계가 인간과 얼마나 비슷하게 대화할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기계에 지능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시
namu.wiki
중국어방
https://namu.wiki/w/%EC%A4%91%EA%B5%AD%EC%96%B4%20%EB%B0%A9
중국어 방
중국어 방 문제 또는 중국어 방 논변 (the "Chinese Room" argument)은 미국 의 철학자
namu.wiki
국내외에서는 고등학생들이 인공지능에 대해 쓴 책이 있습니다.
MIT 대학원에 다니는 학생이 고등학교 재학시절에 쓴 인공신경망 책이 있는데, 이 학생은 고등학생일 때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을 자바로 작성했다가 아이비리그인 코넬대학에 학부로 입학했다 석사과정은 MIT로 진학을 했습니다. 지금 같은 분위기에서는 여러분들로 오류역전파 관련 된 내용의 책은 쉽게 작성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국내 학생은 NYU에 진학한 학생이 있습니다. 내용은 개념서인데 책이 널리 시판이 안되다 보니 서점에서 찾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인공지능 어려운 분야이지마 기초부터 천천히 공부한다면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입니다.
인공신경망 알고리즘 기초가 되는 오류역전파부터 한번 천천히 들여다봅시다.
'인공지능 > 기초 인공신경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노벨 물리학상, 노벨 화학상 (1) | 2024.10.10 |
---|---|
인공신경망 학습순서 (1) | 2024.06.05 |
인공신경망에서 함수 (1) | 2024.03.31 |
손실함수와 역전파 (0) | 2023.05.22 |
chatGPT 원리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