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과학

퍼셉트론 본문

인공지능/기초 인공신경망

퍼셉트론

티에스윤 2022. 3. 9. 22:53

퍼셉트론 (Perceptron)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구글링에서 퍼셉트론을 입력하면 많은 내용들이 나오는데 간단한 논리회로를 이용한 선형방정식입니다. 

 

 

논리합인 OR회로를 보면 하나라도 1이 있으면 전부 True가 되는 결과입니다.

논리곱인 AND회로를 보면 하나라도 0이 있으면 전부 False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멀티플렉서와 같은 컴퓨터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논리회로의 구성인데 간단한 가산기를 만들때 사용되며 연산장치를 하드웨어적으로 구성하여 컴퓨터를 0과 1인 디지털 구조로 만들어내는데 기반을 한 회로입니다. 

 

 

보통 진리표로도 많이들 나타내는데 진리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간단한 원리입니다. 

이렇게 입력값 2개를 가지고 학습(Training)을 하면 OR에 대한 학습과 AND에 대한 학습으로 선형 방정식으로 결과가 나옵니다. 이렇게 해서 퍼셉트론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제점이 하나 발견됩니다. 논리회로중에 AND와 OR만 있는 것이 아니라 비선형 회로인 XOR 회로에 대한 학습을 진행해서 테스트를 하는데 문제점이 발견된 것입니다. 

 

XOR는 입력값이 1이 동시에 들어오면 가산기에서 Carry가 발생하는 원리로 사용하는데,

XOR에서는 입력값 1이 2개 들어오면 0이 됩니다. 

 

 

진리표를 보면 이렇게 되는 것이죠. 마지막 줄에 입력값이 1일때 결과는 0으로 나와야 합니다. 

나머지는 OR회로와 같습니다. 

 

이 부분을 해결해야 하는데 선형방정식으로 해결이 가능할까요?

 

 

이런 문제를 제시한 분이 있는데 마빈 민스키(MIT) 교수님입니다. 이 문제를 XOR Problem 이라고 합니다. 

XOR Problem이 첫번째 인공지능의 겨울입니다. 

 

https://www.amazon.com/Perceptrons-Introduction-Computational-Geometry-Expanded/dp/0262631113

 

Amazon.com

Enter the characters you see below Sorry, we just need to make sure you're not a robot. For best results, please make sure your browser is accepting cookies.

www.amazon.com

 

 

http://times.kaist.ac.kr/news/articleView.html?idxno=4675 

 

퍼셉트론부터 CNN까지, 딥러닝의 역사 - 카이스트신문

인공지능은 컴퓨터의 개념이 등장했을 때부터 대두된 주제이다. 튜링 머신을 통해 현대적 컴퓨터의 개념을 최초로 제시한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은, 1950년‘계산 기계와 지능’이라는 논문...

times.kaist.ac.kr

 

'인공지능 > 기초 인공신경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티레이어 퍼셉트론  (0) 2022.03.13
반가산기와 전가산기  (6) 2022.03.13
인공지능 분류와 역사  (0) 2021.09.26
인공지능의 기본 이론  (0) 2021.09.26
오류역전파의 간단한 원리  (1) 2021.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