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BLaST
- 파이썬
- 자바
- 알파폴드
- 결정트리
- 생물정보학
- ncbi
- COVID
- 바이오인포매틱스
- 인공신경망
- 인공지능
- 인공지능 수학
- 이항분포
- CNN
- Java
- bioinformatics
- AP
- 블록체인
- 오류역전파
- AP Computer Science A
- 캐글
- 바이오파이썬
- SVM
- MERS
- Kaggle
- 시그모이드
- 서열정렬
- 딥러닝
- 행렬
- 생명정보학
- Today
- Total
데이터 과학
return에 대하여 이해하기 본문
아래 예제를 보면 return에 대한 구문이 있습니다.
public class return_s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return_sample r= new return_sample( );
int k= r.add(3,5);
System.out.println("return_sample에 대한 결과는 " + k);
int j= r.sub(3,5);
System.out.println("return_sample에 대한 결과는 " + j);
}
public int add (int a, int b){ // add()메쏘드는 2개의 파라미터 (형식 매개변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int c;
c= a+b;
return c; // add()메쏘드는 정수형 리턴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
public int sub (int a, int b){
int c;
c= b-a;
return c;
}
}
return_sample r= new return_sample( );
이 문장에서 return_sample r 은 r이라는 참조형(reference type)에 대한 변수를 선언하는 선언부입니다. r이라는 객체를 선언하는 것입니다. 이렇다면 r은 return_sample이라는 클래스 기초 위에서 새로 설정되는 객체에 대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new return_sample( );에서 new는 생성이라는 부분이며 return_sample( )은 클래스에 대한 객체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그렇다면 r은 return_sample이라는 바탕위에서 객체(Object)를 생성하는 것입니다.
r.add(3,5)에서는 r객체 안에 있는 add()라는 메쏘드에 3과 5라는 값을 전달해 달라는 부분입니다. int k= r.add(3,5)이라는 부분은 r.add(3,5에서 나온 결과가 정수형 k 값에 대입된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됩니다.
public int add (int a, int b) 이 문장은 add()라는 메쏘드가 return type을 정수형으로 가지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parameter는 2개의 정수형 값인 a와 b를 받겠다는 의미입니다.
받은 값은 내부적으로 실행되어 return 값을 마지막으로 만나게 되는데 return이라는 부분은 이 메쏘드에 대한 결과를 내보겠다는 의미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론 > JAVA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성자 (constructor) (8) | 2022.10.30 |
---|---|
배열 (array) (1) | 2022.10.23 |
자리배치 프로그램 -JAVA (0) | 2022.09.04 |
제어문 (5) | 2022.09.04 |
연산자 예제, 상속과 캐스팅 (0) | 2022.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