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데이터 과학

파이썬 변수 본문

프로그래밍 언어론/파이썬 코딩 기초

파이썬 변수

티에스윤 2023. 3. 14. 22:44

파이썬 변수에 대한 chatGPT에서 설명입니다. 

 

 

파이썬 변수(Variable)는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 변수는 이름으로 식별되며, 이름을 통해 변수에 저장된 값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 변수는 값을 할당할 때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변수에 값을 할당하려면, 변수 이름을 정하고 할당 연산자(=)를 사용하여 값을 지정하면 됩니다. 다음은 변수를 생성하고 값을 할당하는 예제입니다.

 

>>>x = 10
>>>y = 20
>>>z = x + y

 

 

위 예제에서는 x, y, z 변수가 생성되고, 각 변수에 10, 20, x + y 값이 할당됩니다.

파이썬은 동적 타이핑 언어이기 때문에 변수의 타입을 미리 선언할 필요가 없습니다.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시점에서 변수의 타입이 자동으로 결정됩니다. 또한 변수에는 언제든지 다른 값을 할당할 수 있으며, 값의 타입도 변경될 수 있습니다.

파이썬 변수는 값이 변경될 수 있는 Mutable과 변경될 수 없는 Immutable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문자열과 숫자는 Immutable 타입의 변수이며, 리스트와 딕셔너리는 Mutable 타입의 변수입니다.



변수의 이름은 영문자, 숫자, 언더스코어(_)로 구성됩니다. 변수의 이름은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변수의 이름은 파이썬에서 미리 정의된 예약어와 동일하게 지정할 수 없습니다.

 

아래는 파이썬 변수에 대한 예제입니다. 

 

 

# 숫자 타입 변수
>>>age = 28
>>>height = 178.5

# 문자열 타입 변수
>>>name = "Alice"
>>>address = 'Seoul'

# 불리언 타입 변수
>>>is_student = True
>>>has_job = False

# 리스트 타입 변수
>>>fruits = ['apple', 'banana', 'orange']

# 딕셔너리 타입 변수
>>>person = {'name': 'Bob', 'age': 30, 'address': 'Busan'}

# 변수 값 변경
>>>age = 29
>>>fruits.append('grape')
>>>person['address'] = 'Daegu'

# 출력
>>>print(age)              # 29
>>>print(height)           # 178.5
>>>print(name)             # Alice
>>>print(address)          # Seoul
>>>print(is_student)       # True
>>>print(has_job)          # False
>>>print(fruits)           # ['apple', 'banana', 'orange', 'grape']
>>>print(person)           # {'name': 'Bob', 'age': 30, 'address': 'Daegu'}

 

 

위 예제에서는 다양한 타입의 변수를 생성하고, 값을 할당하며, 값을 변경합니다. 예를 들어, age 변수는 초기값으로 28을 갖지만, age = 29 코드를 통해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print 함수를 사용하여 변수의 값을 출력합니다.

chatGPT로 설명한 내용입니다. 추가적인 설명으로는 C언어나 JAVA에서는 변수 타입(Variable Type)이 있는데 파이썬은 변수타입을 붙이지 않습니다. 이 내용에 대한 chatGPT에서의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파이썬과 자바는 모두 변수를 지원하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타입 선언 자바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타입을 명시해야 합니다. 이에 반해 파이썬에서는 변수를 선언할 때 타입을 명시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바 예시:

 

파이썬 예시:

 

타입 변환 자바에서는 서로 다른 타입 간에 값을 할당하거나 연산을 수행할 때 명시적으로 타입 변환이 필요합니다. 파이썬에서는 동적 타이핑 언어이기 때문에 타입 변환이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자바 예시:

                   

 

 

파이썬 예시:

 

가비지 컬렉션 자바에서는 메모리 관리를 위해 가비지 컬렉터가 존재하며,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객체를 자동으로 제거합니다. 파이썬에서도 가비지 컬렉션 기능을 제공하지만, 구현 방식이 다릅니다.
변수명 규칙 자바에서는 변수명을 CamelCase 형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파이썬에서는 변수명을 snake_case 형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파이썬은 타입 선언이 필요 없고, 타입 변환을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B9%B4%EB%A9%9C_%ED%91%9C%EA%B8%B0%EB%B2%95

 

카멜 표기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EC%8A%A4%EB%84%A4%EC%9D%B4%ED%81%AC_%ED%91%9C%EA%B8%B0%EB%B2%95

 

스네이크 표기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프로그래밍 언어론 > 파이썬 코딩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튜플(tuple)  (0) 2023.03.21
파이썬 numpy  (0) 2023.03.21
파이썬 리스트  (0) 2023.03.16
파이썬 사칙연산  (0) 2023.03.14
파이썬 프로그래밍 안내  (0) 2023.03.14